Java 8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이란?

HttpServlet HTTP 프로토콜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서블릿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개발자는 HTTPServlet을 상속 받아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WAS 가 웹 브라우저로부터 Servlet 요청을 받으면 1. 요청을 받을때 전달받은 정보를 HttpServleteRequest 객체를 생성한다. 2.웹 브라우저에 응답을 반환할 HttpResponse 객체를 생성한다.(응답을 담기 전 빈 객체) 3. 생성된 HttpServletRequest,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Servlet에 전달한다. Servlet WAS에서 동적 웹페이지 구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프로그래밍 기술) 서블릿 관련 추상 메소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예) init() , serv..

KH/Servlet 2022.11.07

JS_ Java와 비슷한 문법들

if_else문 if- else 문을 이용하여 학점매기기 prompt( ) 함수 :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하는 프롬프트 상자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롬프트 상자에서 계속 진행하려면 "확인" 또는 "취소" 버튼을 클릭해야 한다. 첫번째 인수는 프롬프트상자에 표시되는 레이블이며, 두번째 인수는 프롬프트 상자의 텍스트 박스에 표시되는 문자열이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문자열로 반환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null을 반환 function prompt(message?: string, _default?: string): string (상단 메시지, 기본입력 메세지) : string타입 리턴 학점 매기기 2개를 더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int형으로 변경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

KH/JavaScript 2022.09.20

[백준] 10828번 스택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

JAVA/JAVA Algorithm 2022.08.26

# 32 String

String 자바에서 문자열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객체는 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 세가지가 있다. 문자는 char cc = 'A' 처럼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지만 문자열은 String str = "seoul" 처럼 큰 따옴표로 처리한다. 프로그램에서 문자열을 많이 사용해 String 클래스는 마치 기본자료형 처럼 사용된다. String 클래스는 한번 생성되면 변하지 않는 문자열 즉 상수 문자열을 처리하는 클래스이다.(값 변경 불가) 계속 변하는 문자열은 StringBuffer 클래스를 이용해 처리하는것이 좋다. 자바는 String 클래스를 사용할때 내부적으로 StringBuffer 클래스로 벼형되어 처리한다. [ 문자열 저장 객체비교 ] 종류 특징 성능 String ..

KH/JAVA 2022.07.25

#20 this , Garbage Collection(쓰레기수집) , Inner Class(내부클래스)

this : 멤버 변수에서 사용되는 this (static으로 만들어진 애들은 this로 사용하는 멤버 변수에 사용불가) : this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객체를 지시할때 사용하며 객체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객체 참조형 변수이다. 자기 자신의 객체를 참조할 때 사용하고 클래스의 멤버 변수, 생성자에서 사용할 수 있다. 형식 1. this : 객체 자기자신을 참조하는 래퍼런스 2. this() : 자신의 생성자 매소드 >> this 와 this()는 객체 자신의 멤버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시) - 변수에서의 사용 class This1 { // 맴버변수 private int kor; private int eng; private int math; public This1(int kor, int..

KH/JAVA 2022.07.15

#9 Array(배열)

Array (배열)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으로 구성된 자료의 집합이다. 배열을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에 연속된 기억공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배열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사항을 명시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1. 배열의 요소 :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을 배열의 요소(Array Element)라고 부른다. 만약 int 형으로 구성된 비열이 있다면 이 배열의 요소는 int형 자료가 된다. 배열을 정의할 때 배열 요소를 지정해야 한다. 2. 배열의 크기 :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이 모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배열의 요소의 개수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즉 몇 개의 배열 요소로 구성되었는지를 명시해야 한다. 3. 배열 명 : 배열은 자료형의 일종이기 때문에 이름을 지정해야 한다.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을 여러 개 ..

KH/JAVA 2022.07.12